전자산업의 빅트렌드 - 삼성전자, 엘지, 소니의 도전과제

20세기에 일본 전자회사들이 전자산업을 주도했던 시대라면 21세기는  저비용구조를 핵심경쟁력으로 하는 삼성, 엘지, 중국의 전자회사들 혁신으로 무장한 애플의 도전에 일본회사들이 무너지고 있는 전자산업의  춘추전국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이렇게 산업의 지형이 바뀌었을까?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적어본다.

첫번째 전자산업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아날로그에 의존한 시대였다. 그렇지만 1990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급속히 바뀌는 전이과정을 거쳐 2000  완전 디지털의 시대를 그리고 불과 만에  우리는 네트워크의 시대로 달리고 있다.  

둘째 경쟁의 요소가 바뀌었다.  애플, 구글 같은 새로운 경쟁자, 고도의 디자인 경쟁과 저비용 생산구조가 경쟁의 요소가 되었다.

셋째 칩셋에서 디지털 이노베이션이 시작됨에 따라 쉽게 제품을 카피할 있게 되었다. 결과 전자제품은 이미 Commoditization 되어 버렸다.

넷째 강력한 유통업체들이 합병이 되면서 유통업체의 파워가 매우 커졌다.

마지막으로 제품 생산의 주기가 전래없이 매우 짧아 지게 되었다.

이런 요소들이 기라성같은 소니를 침몰하게 만들고 엘지와 삼성이 애플의 등장과 함께 고뇌할 밖에 없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럴 때일 수록 플랫폼 전략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구글이나 애플이 어플리케이션 마켓인 안드로이드마켓과 앱스토어를 만들어듯이

결국 적절한 개방과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기업이 최후의 승자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소프트 웨어와 하드웨어의 플랫폼  컨버젼스 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오늘 소니의 미국사장을 게리를 만났는데  그는 소니의 3가지 전략을

 PS3 생산비용의 획기적 절감을 통한 가격다운,  개발키트와 교육을 통한 게임개발환경의 단순화, 그리고 플랫폼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적절한 전략이나 어떻게 실행이 될지 사뭇 궁금해진다.

소니의 구글 TV 갑자기 사보고 싶기도 한데

Posted by wishart
,

통계학에서 본페로니 검정법(Bonfenoni  test, correction or ajustment)이라고 있다.  많은 분들에게  생소한 개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개념은 아주 간단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우리가 서로 독립인   종류 이상의 테스트(K) 한다고 하자. 이때  유의수준을 5% 놓고 싶다면 각각의 테스트에 대해서 유의수준을  전체 테스트 갯수로 나눈 유의수준으로 테스트 해야 실제 우리가  원하는 5% 유의수준으로 테스트하는 결과를 얻을 있다는 말이다.

쉽게 이야기 해서 우리가 2개의 가설을 테스트 한다고 하자. 이때 우리가 유의수준 (significance level) 5%라고 놓고 가설을 테스트를 했다. 그리고 우리는 가설의 테스트에서 유의하다고 나왔다고 해도 실제 5% 유의수준으로 테스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테스트의 실제 유의수준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기 때문이다.

1         -   (1-0.05)^2 = 1-0.9025 = 10%

된다.

따라서 우리가 서로 독립이 가설 대해서 K 테스트 한다면 본페로니 테스트 각각의 테스트의 유의수준은 alpha/K 된다. (전체 유의수준을 alpaha 놓고 싶을때…)

왜냐면 우리가 각각의 테스트에서 유의수준을 alpaha로 놓더라도 전체 유의수준은 위에서 계산된 것 처럼

True singnificance level = 1 - (1-alpha)^k

가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통계학에 다중평균비교에서 설명되곤한다.
왜냐면 3개 그룹이 있을때 이들 평균이 모두 같은지 테스트하고 싶을때 실제 테스트를 2번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독립적인 여러 귀무가설을 테스트 할 때 유의수준을 보정하는 방법이
 본페로니(Bonfenoni) 테스트 혹은 본페로니 보정법이라고 한다.

 

Posted by wishart
,

혁신의 아이콘, 아이폰은 파급력이 큰가? 
Adoption and Diffusion of Innovations

            혁신적인 상품이 소비자들에게 선택되고 확산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Rogers chapter  6).  

첫번째, 기존 상품에 보다 상대우위 (Relative Advantage) 있는 경우입니다. ,
존에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비해서 경제적으로 가치가 높거나 아니면 인지상에서 괜찮다고 느끼는 제품은 상대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사기는 내가 손으로 쓰는 것보다  편리하기 때문에 사용을 합니다. 반면 와인은 거의 품질은 동일하나 인식때문에 고급의 와인을 찾습니다.

두번째 요소로는  호환성 (Compatibility)입니다.  사회적으로 기준으로 볼때 바뀌면 안되는 어떤 요소라 있겠습니다. 우리는 와인의 마개는 코르코로만 되어 있어야 하나요? 가령 이것을 소주마개처럼 만들면 안될까요?  이처럼 사회적으로 와인을 마개를 열때 퐁하고 소리가 나야 하고 골프장에 홀컵에 공이 들어가면 통통하고  나는 기분좋은 소리처럼 바뀌면 안되는 것이 있습니다. 이게 바로 호환성입니다. 혁신적인  상품도 이것을 벗어나면 채택율이 떨어진다는 겁니다.

세번째로는 혁신적인 상품의 복잡성(Complexity)입니다. 복잡하면 상대적으로 채택율이 떨어지고 반대로 간단해서 쓰기가 편하면 채택율이 올라갑니다.  그러나 복잡하지만 성공한 대표적인 예로는 컴퓨터를 꼽을  있는데 이것은 복잡성하지만 훨씬 경제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성공을 했다고 있겠죠.

네번째로는 소비자가 쉽게  시도해 있는냐의  문제입니다. 영어로는TRIALABILITY 부릅니다. 시도해보기 쉽다면 이런 혁신적인 상품은 채택율이 높겠죠. BMW 같은 자동차 회사들이 시험드라이빙을 제공하거나 흔히 화장품 가게에 가면 점원들이 공짜로 샘플을 주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혁신적인 상품을 관찰가능성 (Observability) 채택율을 결정한다는 것으로, 이것은 혁신상품을  책택한 결과가 얼마나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지느냐라는 것입니다,  아이폰의 흰색 이어폰은 바로 패션트랜드의 상징이죠.  이것을 보고 사람들은 나도 저런 갖고 싶어서 사게 만드는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아이폰은 왜 성공했을까요? 이 관점에서 분석해보면 재미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Posted by wishart
,